목록전체 글 (1464)
낭만을 꿈꾸는

알뜰폰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마 유목민처럼 여기저기 옮겨다니시는 분들이 꽤 있으실텐데요 몇 개월 할인 요금제들이 주력이고 매달 통신사별로 요금제별로 할인 이벤트가 있기 때문에 그렇죠 저도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씩 옮겨다녔는데요 이번에 정착을 했습니다 바로 KT M 모바일 밀리의 서재 제휴요금제입니다 저는 취미 중의 하나가 e북으로 책을 읽는 건데요 밀리의 서재가 책이 가장 많은 편이라 구독을 하고 싶었는데 가격이 좀 비싼편이라 다른 걸 구독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KT제휴 알뜰폰들에선 밀리의 서재가 무료입니다 요금제만 생각하면 다른 이벤트하는 알뜰폰 요금제들보다는 가격이 조금 비싼편이긴 하지만 밀리의 서재 포함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저렴하다고 생각됩니다 거기에 아무나 결합이라는 제도가 있어서 데이터를 추가로 받..

몇 년 전부터 책은 전자책 오닉스 포크2로 보고 있는데요 리모컨으로 페이지를 넘기면 더 편하게 볼 수 있다고 하여 알리에서 구매를 했습니다 전자책은 읽기는 좋은데 터치같은건 아무래도 반응이 느려서 좀 불편하는데 그걸 보완해주더라구요 알리에서 구매는 했는데 회사는 잘 모르겠어요 그냥 저렴이로 구매한거라 ^^;; RoHS라고 씌여있긴 하네요 그리고 생긴걸 보면 이건 조이스틱 게임용인가봐요 원래 하지만 작동은 잘 됩니다 히가시노 게이고 님의 책을 읽는 중인데요 밀리의 서재에서 설정을 하려면 이렇게 책 읽는 페이지에서 해야하더라구요 여기서 살짝 터치를 해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럼 제일 밑에 오른쪽에 줄 세개 메뉴가 있는데요 그걸 터치해주시면 됩니다 그 메뉴에서 아래로 내려보면 볼륨키로 넘기기가 해제..

한화손해보험은 자동이체를 신용카드로 변경을 하려면 최초 1회는 고객센터에 직접 방문을 해야한다... 귀찮아-_-;; 왜 이렇게 해놨는지 ㅎㅎ 하지만 신용카드로 하면 카드실적 등에서 얻는게 많기때문에 쉬는 날 방문해봤음 강동역 1번출구에 위치한 이스트센트럴타워 8층에 위치한 한화손해보험 강동지역단 고객센터 1번출구에 바로 위치하고 있고 굉장히 큰 건물이다 그런데 8층을 가는 엘리베이터는 하나뿐인듯? 나머지는 사원증을 찍어야 이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들 같았음;; 바로 이 엘리베이터다 꽤 오래 기다렸음 8층에 내려서 오른쪽으로 바로 위치하고 있다 업무시간은 오전 9시~오후 5시 네이버에는 4시까지라고 나와있는데 5시까지인가봄 들어가서 번호표를 뽑았지만 대기하고 있었던 분들은 안계시고 나랑 엘리베이터에서 같이..

멀티탭 정리를 하려고 생각만 하다가 실행해봤습니다 처음에는 드릴로 나무 책상을 뚫어볼까 했는데 번거롭기도 하고 해서 검색해보다가 발견한 정보 벨크로로 하면 편하고 깔끔하다는 얘기 우선 위의 사진처럼 정리가 되었습니다 바닥에 굴러다닐때보다 훨씬 깔끔해졌어요 저는 인터넷으로 구매했는데 다이소에서도 팔고 있다고 하네요 멀티탭 4개를 정리할거라서 그냥 인터넷으로 1미터를 샀습니다 멀티탭 뒷부분과 책상에 부착할 부분을 깔끔하게 닦아준 후 다시 물기가 없도록 닦아줬어요 그리고 멀티탭 길이에 맞도록 잘라주고 책상쪽에 까끌한 부분을 붙이고 멀티탭에 부드러운 부분을 붙여줬습니다 그리고 붙여주면 아래와 같이~! 코드 뽑고 꽂는 정도로는 떨어지지 않더라구요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2024년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 인건비 지원기준 가이드라인 입니다 왜 아직도 장애인거주시설만 이렇게 기준이 따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2024년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지급기준 밑에 파일로 있습니다 2024년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및 운영계획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습니다 월세로는 살아본 적이 없어서 몰랐는데요 월세도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더라구요 물론 세액공제의 경우 혜택이 큰 만큼 대상이 한정적이네요 확인해보고 해당되시면 꼭!! 세액공제를 받으시기를~ 대상의 경우 아래와 같습니다 총 급여 7천만원 이하인 근로자 종합소득금액은 6천만원 이하여야합니다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또는 세대원 그리고 주택 제한도 있는데요 국민주택규모(85㎡) 또는 기준시가 4억원 이하인 주택 만 가능합니다 두 가지 조건에 해당되시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총 급여 5,500만원 이하인 경우 월세액의 17% 5,500만원 초과~7천만원 이하인 경우 월세액의 15% 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월세액은 연 750만원까지만 공제가 가능하다고 ..